고양이들은 여전히 각자 삶의 주인으로서 주도적으로 살아간다. 온라인에서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터무니없는 행동을 했다면, dog whistle에 반응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역사상 최고의 부를 획득한 대기업들이 만든 알고리즘의 자극에 쉴 새 없이 노출되고 지속적으로 감시받는 세상에서 어떻게 해야 우리의 자주성을 지킬 수 있을까? 당신은 자유의지를 잃어가고 있다 cage 우리는 쉴 새 없이 추적당하고, 평가받고,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제공하는 피드백을 받는다. 그러면서 얼굴 없는 기술자들이 알 수 없는 의도로 거는 최면에 서서히 빠져든다. 한때 광고라고 불렸을지 모르는 것들은 이제 어마어마한 규모로 행해지는 지속적인 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이다. reinforcement theory 보상reward - 진짜 보상(먹이) 대신에 상징을 활용하는 방법은 행동수정에도 꼭 필요한 도구가 됐다. (e.g. 반짝이는 사탕/동전 이미지, 하트, thumb up - 약간의 도파민) 부적 보상negative reward - 소셜미디어를 안 쓰면 기념품을 안 주기 mystery 행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건 임의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피드백의 작용이다 적응형 알고리즘adaptive algorithm - 더 나은 결과(더 많이 참여해 수익성 향상)를 얻기 위해 끊임없이 (무작위 테스트를 통해) 수정됨 자연에서 (우연히 발생한) 돌연변이가 선택받듯, 무작위 자극이 (새롭고 놀라온 것을 추구하도록 진화한) 뇌의 선택을 받는다 - 중독 천국과 지옥은 타인에게 있다 인간은 사회적 지위, 평가, 경쟁에 지극히 민감하다 - 타인의 생각과 시선의 영향력 사회적 감정(동료애, 연민, 존경, 존중, 감사, 희망, 공감, 친밀함, 애정 vs. 두려움, 적대감, 불안, 분노, 혐오, 질투, 조롱) SNS에서는 사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