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를 읽어라
재무제표 읽기 원칙 숫자가 클수록 중요하다 - 큰 숫자를 중심으로 재무제표를 살펴보자(매출액, 영업이익, 매출채권, 재고자산, 유형자산 등) 이분법 논리의 위험성 - 항상 옳고 그른것 보다 그렇지 않는 경우가 많다(유상증자도 경우에 따라 호재/악재) 조화와 균형이 중요하다 (매츨액과 매출채권/ 재고자산 비율 등) 투자 유망 종목을 고르긴 어렵다 / 절대로 투자해선 안 되는 기업을 솎아낼 수는 있다. / 주식투자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시기를 찾아낼 수 있다. 재무제표 중요 순서 손익계산서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재무상태표 읽기 자산: 미래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주는 것 부채: 타인자본, 이행해야 할 경제적 의무 (매입채무, 선수금 등) 자본: 자기 자본(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재무상태표는 정보가 제공된 특정일 현재 기업이 회사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주주(자본금, 자본잉여금)와 외부차입(부채 계정 중 차입금 및 사채)을 통해서 얼마나 조달하였고, 경제적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부채(매입채무, 선수금 등) 및 창업 이후 이익을 얼마나 냈는지(이익잉여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또한, 부채와 자본을 통해서 조달한 자금으로 경제적 자원인 자산을 기업이 어디에 얼마나 사용해서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준다. 따라서 자산=부채+자본의 등식이 성립하게 된다. 자산 유동자산 (1년 내 현금화 가능)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매출채권 (받을 돈. 어음 등) 재고자산 기타유동자산 비유동자산(건물은 팔 일이 없으니까) 유형자산 (부동산) 무형자산 기타매도가능금융자산 등 자산에서 기억할 것 기업은 일정 규모의 현금을 보유해야 함 (너무 많아도 제대로 운용못하는 것) 매출이 증가하면 매출 채권도 증가하는 것은 자연스로운 현상 매출 채권은 매출액 대비 or 전 분기 대비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 비교가 중요함 매출은 증가하지 않는 상황에서 매출채권이 급증했다면 반드시 그 원인을 파악해야 함 실적부진을 만회하기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