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클리닉
글쓰기가 두려운 그대에게
글쓰기가 두려워요. 글을 쓰지 않고 사는 방법은 없나요?
어떤 글이 좋은 글인가요?
- 좋은 글이란 목적을 달성하는 글
- 확실한 목적의식
생각은 많은데 글로 쓰려면 안 되네요
- "쓸거리가 있는데 글이 나오지 않는 게 아니라, 머릿속에 딱 그만큼만 쓸거리가 있는 겁니다."
- 글의 내용을 가르는 핵심: 경험의 차이
- 좋은 글을 쓰려면 될 수 있으면 다양한 직접 경험과 간접 경험(독서)을 쌓아야
내가 볼 땐 잘 쓴 것 같은데 남들은 아니라네요. 뭐가 문제죠?
- 글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쓴다
- 독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으면 아무리 목적의식이 강해도 실패
긴 글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 설계도(목차)부터
맞춤법에 자신이 없어요.
- 맞춤법 검사기, 인터넷 검색
- 틀렸다는 것을 알아챌 때마다 고쳐나가면서 정확한 맞춤법을 익혀야
어떻게 하면 글로 감동을 줄 수 있죠?
- 감정은 세부적인/구체적인 묘사로 전달
= 감동을 주려면 그만큼 섬세하게 표현해야 - 내 삶과 주변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진지하게 관찰해야
내가 쓴 글이 맘에 들지 않아요. 어떻게 해야 하죠?
- 남에게 물어보고 고쳐라
좋은 글을 쓰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 좋은 삶, 가치 있는 삶을 살지어다
글쓰기 7계명
- 좋은 글이란 목적을 달성하는 글이다
- 글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쓰는 것이다
- 글의 재료는 경험이다
- 긴 글은 설계도가 필요하다
- 감동은 세부적인 묘사에서 나온다
- 완벽주의는 독이다
- 글은 곧 삶이다
이럴 땐 이렇게 써라: 업무 글 편
자기소개서
업무 이메일
기획서, 제안서
프레젠테이션
이럴 땐 이렇게 써라: 생활 글 편
독후감, 서평
- 저자가 건넨 말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고 자신만이 할 수 있는 대답을 하시라
칼럼, 주장 글
인터넷 글쓰기
- 자신이 쓴 글을 많은 사람이 읽기 원해서
- 노출증 환자가 되어라: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 '성실성'
책 쓰기
연애편지
문장 강화 TIP
- 글은 무조건 쉬워야 한다
- 짧은 문장이 바람직하다
- 주어와 서술어는 일치해야 한다
- 수동태보다 능동태가 좋다
- 중복은 피한다
- 지시어를 남용하지 말라
- 단락은 글의 호흡이다
- 접속사는 글의 윤활유
(이메일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