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분석 참고자료
<효과크기의 선정> 1. post, 실험-통제 2. post, 실험-비교 3. post, 실험-baseline group 4. 실험, post-pre 5. post, 실험-baseline group (Norris & Ortega, 2000 p. 446) 1. post, 실험-통제 2. post, 실험s-통제 3. (사전 동질성 확보가 되지 않았을 경우), 실험, post-pre 4. (pretest data가 제시되지 않았을 경우), post, 실험-통제 5. (실험집단만 있을 경우) 실험, post-pre (Jeon & Kaya, 2006, p. 178) "A third option is to include only published studies." (Light & Pillemer, 1984, p. 163) "3. Is there publication bias?" (Light & Pillemer, 1984, p. 164) Taking a vote (Light & Pillemer, 1984, p. 74) Vote Counding - A New Name for an Old Problem (Borenstein et al., 2009, p. 251) <동질성 검정 통계(Q)> "Q 검사(Q test, Test of Consistency or homogeneity)는 동질성 검사 또는 효과 크기의 일관성 검사로서, 모든 효과 크기들이 동일한 모집단 평균값을 추정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정한다. 만약 동질성 검정이 실패한다면, 이는 효과 크기들의 분포가 이질적임을 뜻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집오차 이외에 또 다른 랜덤오차 요인을 첨가한 랜덤효과 모형(random effects model)을 사용할 수 있다(오성삼, 2002). 또한 평균 효과 크기의 비교에 있어 이질 부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ANOVA의